Spring
개발을 하게되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남이 짜놓은 코드를 리팩터링하거나 기능을 추가하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래서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하면서 생각해야할 것들을 제대로 공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스프링 배치를 사용하면서 프레임워크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사용하고 있는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Java 환경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되면, 유용한 라이브러리나 플러그인들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이 번글에서는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Lombok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스프링 배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발을 했던 경험은 있지만, 알고 사용하는 것과 모르고 사용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는 생각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요즘 개인적으로 공부도 하면서 nuxtjs + spring boot
의 조합으로 개발을 하면서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발 환경에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은 IDE에서 버튼 하나로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운영할 서버에 배포할 때는 간단하게 Run
버튼만으로 할 수 없습니다.
Spring과 Mybatis를 이용하여 개발할 때는 쿼리를 직접 작성하기 때문에 장단점이 있습니다. 쿼리를 직접 작성하면 쿼리를 튜닝하기도 좋고,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조회하기가 쉬워집니다.
스프링을 환경에서 개발하는 개발자들이라면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
설정파일을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시고 계실 것입니다.